생활정보

[스크랩] 차례 지내는 순서

꿈돌이^^ 2007. 9. 7. 11:05

차례 지내는 순서

 

 

 


진설(進設)
북쪽(방위상 북쪽을 뜻하나 제사를 모시는 장소의 형편상 북쪽을 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신위를 모시는 방향을 북쪽이라 함)에 병풍을 치고 병풍 앞에 교의(神主나 혼백상자를 모신 의자)를 모신 다음 제사 상에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립니다. 제수는 간소하게 하되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을 몇 가지를 더 곁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진설이 다 되면 고인의 사진을 교의나 제사상에 모시고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병풍 앞면에 붙입니다.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주는 꿇어 앉아 향을 향로에 꽂고 재배합니다. 왼쪽 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사가 술을 따르고, 제주는 모사 그릇에 세번에 나누어 모두 따릅니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주어 제자리에 놓게 하고, 제주는 재배합니다.


참신(參神)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재배합니다.

 

진찬(進饌)
추석 차례에는 송편(혹은 메(밥))을 제상에 올립니다.


헌다(獻茶)
왼쪽 집사로부터 잔을, 오른쪽 집사로 부터 술을 받아, 먼 조상순으로 술을 올립니다.


개반(開飯)
집사가 떡국그릇의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립니다. 순서는 좌측부터 조부 조모순이며, 가정의례준칙에서는 부모와 조부모등

2대 봉사만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삽시(揷匙)
집사가 시접(수저를 놓는 빈 대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 위에 가지런히 걸쳐 놓습니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습니다. 흔히 젓가락을 세번 굴리고 여기저기 제물 위에 올려 놓기도 하지만 시접 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제주는 재배하며,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시는 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기립니다.

 

철시복반(撤匙復盤)
떡국 그릇의 뚜껑을 덮고 수저를 거두어 세 번 굴리고 시접에 놓습니다.


사신(辭神)
참가자 모두가 재배를 올리고 지방을 향로 위에서 사릅니다.


철상(撤床)
모든 제사 음식을 물리는 것을 말하며, 제상의 위쪽에서 부터 다른 상으로 공손히 옮겨 물립니다.


음복(飮福)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차례는 끝나게 됩니다.


 
출처 : 블로그 > 竹林/曲水宴 | 글쓴이 : 죽림-曲水宴 [원문보기]
출처 : 竹林/曲水宴
글쓴이 : 죽림-曲水宴 원글보기
메모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족보에관한애기  (0) 2007.09.09
[스크랩] 나무 재배법  (0) 2007.09.07
[스크랩] 그림으로 보는 장례절차  (0) 2007.09.02
[스크랩] 재미있는 송편 이야기  (0) 2007.08.30
[스크랩] 청국장의 효능  (0) 2007.08.25